CS/네트워크

IP 관련 개념 ☎

한번은하자 2024. 6. 17. 18:01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통신은 IP 주소 기반으로 통신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게 되면 가상 주소인

IP주소에서 ARP를 통해서 특정 MAC주소를 찾는 것이다. 이를 역순으로 한 것이 RARP이다.

IP주소는 보통 논리적 주소이고, MAC주소는 물리적 주소이다. MAC의 주소는 한 번 네트워크 관리자가 설명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불변한다.

 

1) 라우팅 전송(홉 바이 홉)

IP 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을 홉바이홉 통신이라고 한다. 서브네트워크 안에 있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IP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고 또 전달해나가며 라우팅을 수행하며 최종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한다.

IP를 찾는 과정은 각각의 라우팅 테이블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라우팅 테이블은 게이트웨이와 모든 목적지에 대해

해당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할 다음 라우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2) 게이트 웨이

게이트 웨이(gateWay)는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이다. ex) 핸드폰, 컴퓨터

 

3) [ IPv4 ] vs [ IPv6 ]

Ipv4의 경우는 32비트를 8비트 단위로 점을 찍어 4부분으로 표기하며, Ipv6는 64비트를 16비트 단위로 점을 찍어

표기한다.

→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노트에서는 64비트를 16비트 단위로 점을 찍어 표기한다고 했는데

     실제는 128비트 16비트로 8개로 나뉜다.

 

※ 꼬꼬무

IPv6가 IPv4보다 좋은 점

대표적으로 세계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 기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범위가 넓다(범용성), 기본적으로 IPsec를

필수적으로 지원한다.(보안)

 

→ 그런데 왜 안 쓰이고 증가 추세가 늦을까?

IPv6는 IPv4를 하위호환하지 않는다. 결국 이는 현재 구축된 IPv4관련된 설정과 네트워크 기기를 모두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직까지는 비효율적이다 (ex. 미국이나 일본이 효율좋은 220V보다 110V를 유지하는 이치)

 

4)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IP 주소 및 기타 통신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할당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이다. 이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의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5)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패킷이 라우팅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동안 패킷의 IP주소 정보를 수정하여 IP주소를 다른 주소로 매핑하는 방법이다.

IPv4 주소 체계만으로는 많은 주소들을 모두 감당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NAT로 공인 IP와

사설 IP로 나눠서 많은 주소를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