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를 공부하면서 Lamda식을 주로 쓰게 되었다. 아직 익숙하지는 않지만 확실히 코드가 간결해진다.
람다식의 목적은 람다식 자체만으로도 메서드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며,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전달되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메서드의 결과로 반환될 수 있다. 즉 주된 이득은 간결해지는 것이다. 또한 간단히 Return받는 함수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굳이 메서드 명과 리턴 자료형까지 고민할 필요가 없어진다. 익명함수가 생기는 것이다.
위의 그림 예시 중 2번 째를 보자.
우선 squre라는 함수명을 지정해줘야 한다. 람다식이 아닌 경우는 리턴 타입과 메서드 명을 기입해야 한다.
하지만 람다식으로 변환하면 아주 간단하게 치환된 것을 볼 수 있다.
java8이상부터 지원한다고 하는데.. java version에 대한 생각을 깊이 안 했다. 프로젝트마다 java version이
달랐는데 java version에 대해서도 탐구해보자
'Java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ing, StringBuilder, StringBuffer (0) | 2024.06.25 |
---|---|
암호화 (0) | 2024.06.23 |
Java Version(8, 11, 17) (0) | 2024.06.22 |
TDD(Test Driven Development) (0) | 2024.06.22 |
GC(Garbage Collection) Re (0)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