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네트워크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 Broadcast ] [ Broadband ], OSI 7계층 장비 1. Broadcast자신의 호스트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 전체를 대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일대다 통신 방식로컬 랜 상에 붙어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보내는 통신이다. 여기서 로컬이란 라우터에 의해서구분되어진 공간, 즉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라고 하는 공간을 뜻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패킷을 송신한다. 단점은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없는 호스트들에게도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터럽트가 발생되며브로드 캐스트는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에만 한정되고 라우터를 공유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2. Broadband(광대역)- 더 넓은 범위의 주파수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Broadband의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일 수 있으며, 광범위한 주파수를 전달할 수 있다.- .. HTTP 구조 - [ Header ] [ Body ] 개발을 하면서 response, request 등등 HTTP통신을 하는데 HTTP의 값을 통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정의 :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통신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두 가자이 유형의 메시지(HTTP 요청 및 HTTP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서버로 보내고 서버가 브라우저로 응답을 보낸다. 두 메시지는 공통 포맷을 가지고 있고 HTTP 헤더와 HTTP 본문을 포함한다. 1) Header(Request)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낼 때의 헤더이다. 1)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charset=UTF-8요청 본.. [ blocking I/O ], [ non-blocking I/O ], [ sync ], [ async ] blocking I/O랑 non-blocking I/O 보려다가 sync, async 보는 것 때문에 힘들었다.... 내가 이해한 것은 이 본문의 내용인데 틀리면 피드백좀 받고 싶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blocking은 제어권의 개념, sync, async는 실행 순서의 개념이다. 우선 I/O에 대한 정의부터 살펴보자 정의 : I/O란 데이터의 입력(Input)과 출력(Output)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어떤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과 출력이 이뤄지는 모든 작업을 I/O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실행하는게 성능의 극대화를 가져온다. 1. blocking I/OI/O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유저 프로세스가 자신의 작업을 중단한 채, I/O가 끝날 때까지 대기하는 방식을의미한다. 다음.. IP 관련 개념 ☎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통신은 IP 주소 기반으로 통신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게 되면 가상 주소인IP주소에서 ARP를 통해서 특정 MAC주소를 찾는 것이다. 이를 역순으로 한 것이 RARP이다.IP주소는 보통 논리적 주소이고, MAC주소는 물리적 주소이다. MAC의 주소는 한 번 네트워크 관리자가 설명하게되면 일반적으로 불변한다. 1) 라우팅 전송(홉 바이 홉)IP 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을 홉바이홉 통신이라고 한다. 서브네트워크 안에 있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IP를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고 또 전달해나가며 라우팅을 수행하며 최종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한다.IP를 찾는 과정은 각각의 라우팅 테이블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라우팅 테이블은 게이트웨이와 모든 목적지에 대해해당 목적지에 도달하.. [ TCP/IP 4계층 ] vs [ OSI 7계층 ] Re ① TCP/IP 4계층현재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모음 TCP/IP 4계층과 OSI Model 7계층은 다음과 같다. 설명의 순서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루어진다.1.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OSI 계층에서 5,6,7 계층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과 소통할 수 있게 UI를 제공한다. 2.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OSI 계층에서 전송 계층에 해당한다.-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고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양단의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딱 Socket통신, HTTP통신 공부할 때 배웠던 내용 그대로다 3.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OSI.. HTTP, Socket, WebSocket 남양주 정약용 도서관을 개발하면서 Socket통신을 했는데 정작 왜 하는지 차이점은 뭔지 몰랐다... 알아보자둘 다 ip, port이용해서 통신하던데 뭐가 다르지...?→ 공부하다보니 네트워크 계층 공부까지 해야겠다. 우선 HTTP, Socket, WebSocket 부분만 간략하게 하고 알아본다. HTTP, Socket, WebSocket을 공부하고 나서 파악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HTTP통신과 Socket통신은 결국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TCP/IP가 연결을 계속 유지하느냐 마느냐의 차이인 것이다.→ 내가 이해한 것인데 틀리면 수정해야겠다. Socket은 3-way-handshake라는 과정을 거치고 연결이 이루어진다.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클라이언트단과 서버단의 연결이 끊..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정의 : 검색엔진 최적화를 뜻하며 사용자들이 검색엔진으로 웹 사이트를 검색했을 때 그 결과를 페이지 상단에 노출시켜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방법을 의마한다. 이전에 HTTPS가 SEO에 더 좋다는 정보를 확인했다. 그런데 왜?→ 보안이 적용된 사이트가 SSL/TLS를 적용한 것을 선호하므로 검색 상위에 더 노출이 된다고 한다. SEO에 자주 노출되는 방법- 캐노니컬 설정 : - 메타 설정 : html 파일의 가장 윗부분인 메타를 잘 선정해야 한다.- 페이지 속도 개선 : 사이트의 속도를 빠르게 조치한다.- 사이트맵 관리 : 사이트맵을 정기적으로 관리한다. ※ 꼬꼬무SSR, CSR보통 SSR이 SEO에 좋다는데 최근에는 Google같은 경우는 CSR에도 상관없다고 했는데 어떻.. HTTPS HTTPS정의 : HTTP/2는 HTTPS 위에서 동작한다. HTTPS는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전송 계층 사이에 신뢰 계층인 SSL/TLS계층을 넣은 신뢰할 수 있는 HTTP 요청을 말한다. 이를 통해 통신을 암호화한다. ※ SSL/TSLSSL은 1.0부터 시작해서 SSL 2.0, SSL 3.0 TLS(Transport Layer Security Protocol) 1.0, TLS 1.3까지 올라가며마지막으로 TLS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보통 SSL/TLS로 많이 부른다.전송 계층에서 보안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통신을 할 때 SSL/TLS를 통해 제 3자가 메시지를 도청하거나변조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SSL/TLS는 보안 세션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보안 세션이 만들어질 때 인증메커니즘, 키 교..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