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패턴
-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객체 간의 상화 관계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규약'형태로 만들어 놓은 것을 의미한다.
→ 반복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해결 방안이다.
디자인 패턴의 장점
1. 재사용성 : 반복적인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2. 가독성 : 규약이므로 일정한 구조로 작성해 개발자가 코드를 이해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든다.
3. 유지보수성 : 코드를 쉽게 모듈화 할 수 있으며, 해당 모듈만 수정하면 보수가 쉬워진다.
4. 확장성 :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 시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새로운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패턴의 종류
- 생성(Creational) : 객체의 생성과 조합을 캡슐화해 특정 객체가 생성되거나 변경되어도 프로그램 구조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도록 유연성을 제공한다.
- 구조(Structural) : 클래스나 객체를 조합해 더 큰 구조를 만드는 패턴이다.
- 행위(Behavioral) : 객체나 클래스 사이의 알고리즘이나 책임 분배에 관련된 패턴이다.
아래는 GoF라는 그룹이 정형화해서 만들어 놓은 패턴의 종류이다.

'CS > 디자인패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저버 패턴 - 행위(by GoF) (0) | 2024.06.08 |
---|---|
전략 패턴 - 행위(by GoF) (0) | 2024.06.08 |
팩토리 패턴 - 생성(by GoF) (0) | 2024.06.07 |
싱글톤 패턴 - 생성(by GoF) (0) | 2024.06.07 |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0) | 2024.06.07 |